1주 - 도움 주신 분들께 인사
1. 시댁에 인사드리기
- 신혼여행에서 돌아온 후, 친정에 들러 하룻밤을 보내고 다음날 오후 시간에 맞춰 시댁으로 인사드리러 가는 것이 일반적
- 친정에서는 되도록 점심식사까지만 마치고, 시댁에 가는 것이 좋음.
이때 빼놓지 말아야 할 것이 친정어머니가 해 주신 이바지 음식.
정성 들여 예쁘게 포장하되 지나치지 않는 선에서 마련해 가는 것이 바람직
- 오후 3~4시 경에는 시댁에 도착해 시댁 식구들과 함께 차를 마시면서 신혼여행에서 있었던 즐거운 일들을 이야기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지도록 합니다
2. 집안 정리
- 신혼집은 결혼 전에 대강 정리해두었겠지만, 당장 살려고 보면 어질러진 곳이 하나 둘 눈에 띌 것임
- 일단 신혼여행에서 사용했던 물건들을 정리하고 가구, 가내 도구 순으로 정리를 시작
- 두 사람이 생활하기에 편리한 방향으로 집안을 정리.
(큰 것부터 작은 것의 순서대로 정리할 것)
- 먼저 냉장고부터 정리, 주방에 있는 여러 가지 주방용품들의 자리를 정해 놓음
- 식기류들은 필요한 몇 가지에 여벌을 더해 건조대에 놓고, 다른 것들은 찬장에 차곡차곡 정리
- 일을 할 때는 하루만에 완벽하게 해치우려는 욕심을 버릴 것.
(차근차근 며칠에 걸쳐서 순차를 정할 것)
- 1주일 정도를 잡으면 효율적으로 집안을 정리할 수 있을 것임.
(집안 정리는 부부가 같이 하는 것이 좋음)
3. 주례선생님과 이웃에 인사
- 결혼식에 참석해 주셨거나 도움을 주신 분들에게 인사를 드리는 것은 빠르면 빠를수록 좋음.
- 특히 주례선생님은 부모님과 비슷한 연배의 분일 경우가 많으므로 최대한 예의를 갖추어 인사를 드리는 것이 바람직.
- 방문 시 선물로는 실용적인 상품권이나, 신혼 여행지의 토산물이 좋음.
- 친구들에게는 전화로 연락을 간단히 취하고 집들이 날짜를 대강이나마 알려줌.
- 분가를 해서 살 때에는 부부가 함께 이웃들과 인사를 나눌 것.
- 시댁에 함께 살 때에는 시부모님께서 알고 지내시는 이웃들과 인사를 나눌 것.
(가까운 반상회 날짜에 맞춰 참석해 한꺼번에 상견례를 하면 좋음)
2주 - 집들이 준비
1. 법적 신고
- 구청에서 호적 등본을 떼어와 혼인 신고.
- 혼인 신고는 늦게 한다고 과태료가 부과되거나 하는 것은 아님
(하지만 혼인 신고를 해야 법적으로 부부임을 인정받는 것이므로 가급적 빨리 하는 것이 좋음)
- 거주지 퇴거 및 전입 신고도 해야 함
- 특히 퇴거 후 2주일이 지나도록 전입신고를 하지 않게 되면 과태료를 물게 됨
- 잊지 말고 서둘러 수속을 마치도록 합니다.
2. 집들이 준비
- 집들이 전에 가장 신경써야 할 부분이 바로 거실
- 거실이 넓어 보이도록 공간 배치 필요.
- 음식 준비는 아무래도 초보인 만큼 실수할 수 있으므로 미리 친정어머니와 의논해 준비.
3. 양가 어른 초대
- 친구들보다 깔끔하게 정리된 집안을 어른들께 먼저 보이고 인사를 드리는 것이 좋음.
- 미리 연락을 드려 어른들께 마땅한 시간이 언제인지 여쭤보고 날짜를 잡도록 함.
- 한꺼번에 모시는 것도 좋지만 인원이 많을 경우 시댁과 친정 어르신들을 따로 모시는 것이 좋음.
3주 - 주변 정리하기
1. 각종 기념일 알아두기
- 결혼하고 나면 시댁의 행사는 미리 알아두어 달력에 따로 표시해 두어야 함.
- 남편에게 친정 부모님의 생신, 결혼기념일 등을 가르쳐 주어 서로 집안을 배려하는 결혼생활의 기틀을 잡도록 함.
2. 친구 초대
- 각자 초대한 손님들의 입맛을 미리 파악해 그에 맞는 메뉴를 준비하도록 함.
3. 1주일 식단 짜기
- 남편의 입맛을 고려해 1주일의 식단을 생각해 봄.
- 신혼에는 대부분 요리에 서툴고 시간도 부족하게 느껴지므로 너무 거창하게 짜지 말 것
- 쉽고 자신 있는 요리부터 만들 것.
- 성의를 다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시어머니의 조언을 듣는 것도 좋음.
4주 - 드디어 둘만의 시간
1. 대청소
- 큰 일은 대강 마침
- 어지럽혀진 집안을 다시 한 번 털어내도록 함.
- 이것은 조용하고 차분한 일상으로 돌아가는 첫 번째 준비일 수 있음.
- 사용하기 쉽고, 가장 효율적인 동선에 장식성까지 고려해 최대한 살기좋게 집안을 정리하도록 함.
2. 결혼 한 달 리뷰
- 부부가 오붓이 저녁 시간을 빌려 지난 한 달간을 조용히 되돌아보며 앞으로를 설계해보는 것이 좋음.
3. 미래의 계획
- 현실을 냉정하게 직시하고 서로의 수입과 지출 규모를 계산해 살림의 규모를 확인.
- 정기적으로 지출될 것들과 신혼 첫 달이기에 지출된 비용을 구분하여 앞으로의 생활을 계획.
- 저축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, 그에 따른 장기적인 생활 설계를 구체적으로 세워 나갈 것.